[충남협회논단] 서영태 (사)전국지역신문협회 대전충남협의회장


충남의 경우 간척사업의 결과물이 많다.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이 직접 공사에 나선 서산AB지구 간척사업은 세계적인 주목을 받으며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든 ‘정주영 공법’ 신화로도 유명하다.

하지만 수십 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 세상은 많이 변했다. 간척으로 인한 이익보다는 자연 그대로의 갯벌이 가져다주는 이익이 더 크다는 주장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고 간척으로 인한 환경오염이 너무 큰 피해를 낳고 있다는 주민들의 하소연도 줄기차게 나온다.

이제는 연안생태를 살리고 그 가치를 높이기 위해 다른 방향의 정책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 이 때문에 역간척 사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에 의하면 미래 해양·연안 가치를 증가시키려는 큰 틀에서 역간척이 추진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충남지역의 경우 하구둑의 문제가 심각하다. 이것은 바다로부터 염수 침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강과 바다의 접경에 쌓은 댐으로 291개가 있는데 강에서 바다로 빠져나가는 곳엔 모두 방조제를 쌓은 것이다.

이 하구둑으로 인해서 갯벌 대신 들어선 간척지는 농업용지나 산업용지로 제구실을 못하고 있다. 주민들이 농사를 지으며 사용하는 농업용수도 마찬가지인 상황인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대해 지난 17일 송년기자회견에서 안희정 도지사는 도내 방조제 원상복구 또는 해수 유통 사업과 관련해 시간이 걸리더라도 반드시 결실을 맺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충남도의 정책수립만으로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워 보인다. 실제적인 권한을 가지고 있는 중앙정부와 협의하고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해야 될 것으로 보인다.

안 지사의 적극적인 추진 입장은 아직 선언에 불과하고 세부 실행 계획이 만들어진 건 아니라고 한다. ‘환황해권시대’를 선언한 충남이 역간척 사업을 선점하기 위해 홍보방조제(홍성군∼보령시)를 첫 번째 사업 대상으로 추진하고 다른 지역을 면밀하게 점검해 보겠다는 입장이다.

송년기자회견에서는 ‘역간척사업’에 대한 단어의 민감성이 지적되는 등 보다 좋은 대책이 나와야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 문제가 탁상공론으로 끝나지 않으려면 실제 간척사업으로 피해를 당하는 거주민에 대한 조사부터 이루어져야할 것 같다. 막연하게 환경피해를 입고 있다는 개념적인 언급보다는 지역민의 경제적인 피해를 비롯한 거주형편의 문제 등을 객관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근거를 만들어야 정책수립도 가능할 것이다.
저작권자 © 충남인터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