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기획시리즈] 계속 터지는 서산 대산화학공장 사고, 무엇이 문제인가

 

최근 서산지역 대산공단 입주기업에서 화학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시민안전 확보를 위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서산시는 최근 시청 중회의실에서 김현경 부시장 주재로 대산공단 6사인 현대오일뱅크, 엘지화학, 롯데케미칼, 한화토탈, KCC, 코오롱인더스트리 공장장, 환경·안전팀장과 관계공무원등 24명이 참석한 가운데 화학사고 발생에 대한 긴급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지난 18일 발생한 페놀 유출사고, 유증기 흡입사고 등 최근 대산공단 입주기업에서 화학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해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데 따른 조치로, 사고원인 분석과 근본적인 화학사고 재발 방지 대책을 논의했다.

대산공단 6사에서는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안전관리 담당자, 탱크로리 운행 기사 등 직원들에 대한 안전 교육과 작업 전 사전점검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사고 발생 시 시민 불안을 최소화 하고 신속한 주민대피 등 대응이 이뤄질 수 있도록 시 재난관리부서와 상황을 공유하고, 신속하고 정확한 초동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화학물질 특성에 따른 방제 매뉴얼 작성, 새로운 방제 장비 보강 등 재난대응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하지만 대책회의 이후에도 사고는 이어지고 있어 주민들의 블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실제로 4월 26일 오후 3시경 서산시 대산읍에 위치한 한화토탈 화학공장에서 폭발음과 함께 가스냄새가 흘러나와 작업자들이 대피하는 긴급상황이 발생했다.

출동한 소방서에 따르면 인명피해는 없고 NCC공장 정기보수 중 맨홀뚜껑을 일부 열면서 베셀 내에 남아있던 잔류 가스가 폭발음을 낸 것으로 확인했다. 작업자들은 마침 현장 인근에서 쉬고 있던 터라 인명피해로 이어지지 않았다.

이 공장 후문 근처 협력업체에서 일하는 한 직원은 "사건이 발생했지만 비상벨조차 울리지 않았다.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던 관리자들이 결국 대피차 빨리 귀가하라고 해서 3시 30분도 안 되어 퇴근했다."고 알려왔다.

이처럼 위험한 화학공장이 운영되고 있는 이곳 대산지역에서는 사고가 계속 이어지고 있어 주민들의 불암감이 극도에 달하고 있다.

거기에다 인명사고까지 발생해서 근로자들도 안전에 심각한 위험을 느끼고 있다. 지난 18일 현대오일뱅크 대산공장에서 오전 10시 10분경 작업 중 근로자(A씨)가 의식을 잃은채 발견되어 닥터헬기로 긴급 이송 되었다. 같이 작업을 하던 B씨와 C씨는 경상으로 인근 병원에서 치료 중이다.

당국에 의하면 공장 내 폐유저장시설에서 모터펌프를 교체하는 작업을 하던 중 사고를 당한 것으로 보여져 경찰과 소방당국은 현장관계자와 공장관계자를 상대로 정확한 사고경위를 조사 중이다.

현대오일뱅크 대산공장은 지난해 11월에도 수증기 유출로 사고가 발생해 대산공단 인근주민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 방독 기능조차 없는 방진 마스크를 착용한 채 유독물질 제거작업

한편, 지난 18일 서산 대산공단에서 발생한 페놀 유출사고 당시 대응에 총체적으로 부실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재발 방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는 주민과 시민단체들은 당국이 사고 발생 3시간이 지난 후에야 페놀 유출 지점에 모래를 뿌리는 등 방제작업을 했고, 통제도 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또한 방제작업자 대부분 방독 기능이 없는 방진 마스크를 착용했고, 방진복이 아닌 일반 작업복에 운동화를 신은 작업자가 많았으며, 인근 마을에도 2시간이 지나서야 문자 메시지를 보냈다고 밝혔다.

계속 터지는 사고와 관련 올해 1월1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서산시 화학물질 안전관리조례’에 따라 오는 5월 3일부터 ‘화학물질안전관리위원회’를 구성·운영하고 ‘서산시 화학물질안전관리 5개년 계획’을 수립해 사고발생 시 신속한 초동대응 방안과 서산시 실정에 맞는 비상 대응 매뉴얼을 마련하는 등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서산시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는 것이 당국의 방침이다.

그러나 사고현장에서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방독 기능조차 없는 방진 마스크를 착용한 채 유독물질 제거작업에 나선 작업자들에게는 마치 대책이 없는 현실처럼 느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현실과 동떨어진 대책마련보다는 구체적인 사고대응체체가 시급하다는 현장에서의 절실한 목소리다.

서영태 기자

저작권자 © 충남인터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