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현장탐방] 낙후된 어촌·어항 선정해 정비하는 대규모 건설 사업, 어떻게 진행되나

 

서해바다를 중심으로 형성된 충남 어촌마을은 낙후되고 생활환경이 불편하며, 고령화 등 인구 감소에 따라 마을 공동화 현상이 심각한 상황이다.

이곳 주민들은 어항 배후지 등을 중심으로 통합 거점 개발, 지역 단위 생활 경제권 확대 및 지역 특성에 맞는 마을 단위 특화 개발을 통해 어촌 인프라가 확충되고 정주 여건이 개선돼 어가 소득 증대는 물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염원하고 있다.

또한, 어선도 점차 규모화 되고, 화재 및 어선사고에 상대적으로 안전한 강선 비율이 증가하는 것은 바람직한 추세이지만 어선의 노후화가 심화되고 있는 만큼 이를 개선하기 위한 사업을 적극 추진해 해양사고를 예방하고 어업인 안전복지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12일 주말을 맞은 충남 서산 삼길포항에는 어선에서 바로 싱싱한 수산물을 구입하는 관광객들이 목격됐다. 이곳 삼길포항은 다른 항구에 비해 관광객들의 방문이 많은 편이지만 다른 어촌마을과 마찬가지로 낙후된 각종시설 개선에 대한 목소리도 높았다.

이곳에서 만난 석준일 씨(경기도 안산 거주)는 “충남지역 어촌마을이 경기도에 비해 많이 낙후되어 있는 것을 느낀다. 화장실, 산책로 등 공공시설을 더 쾌적하게 만들어주면 관광객들이 많이 방문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어촌뉴딜300 사업이 주목받고 있다. 낙후된 어촌·어항을 선정해 정비하는 대규모 건설 사업이다. 선착장을 비롯한 접안시설, 여객편의 시설을 정비하고 바다둘레길 관광코스 등 지역별 특화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다. 미국 루스벨트 대통령이 ‘뉴딜’ 구호를 내걸고 경제정책을 힘 있게 추진한 것을 벤치마킹 했다.

2022년까지 어촌 300곳을 선정해 1곳당 약 100억원 씩 총 3조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작년에 70개소, 올해는 120개소가 선정됐다. 60곳을 선정하는 내년도 예산은 정부안 기준으로 5219억원이 배정됐다.

어촌뉴딜300 사업은 무작정 땅 파고 시멘트를 붓는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이 아니라 낙후된 어촌을 지역 명소로 재탄생 시키는 사업으로 낙후된 어촌 현대화, 관광 활성화, 일자리 창출의 일석삼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어촌의 혁신성장을 위해 필수기반시설을 현대화 하고 지역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해 특화된 개발을 추진하는 사업이다.

3조원 규모 예산을 투입해 ‘혁신어촌’을 만드는 어촌뉴딜300사업에 57개 지자체가 뛰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는 10일 57개 시·군·구가 2021년도 어촌뉴딜300사업 대상지 선정 공모에 응모했다고 밝혔다. 이들 지자체는 사업 대상지로 총 236개소를 신청했다. 정부는 60개소를 선정할 예정이어서 경쟁률은 3.9대 1을 기록했다.

전남이 72개소로 가장 많이 대상지를 신청했다. 이어 경남(50개소), 충남(29개소), 경북(19곳), 제주(16곳), 전북(15곳), 인천(12곳), 강원(9곳), 부산(6곳) 순으로 나타났다. 기초지자체 중 신안군, 여수시, 거제시가 각 12개소로 가장 많이 신청했다.

해수부는 민·관 합동 평가위원회를 통해 서면평가(9~10월), 현장평가(10~11월), 종합평가(12월)를 실시해 오는 12월에 대상지를 확정할 계획이다. 최종 대상지 수는 국회 심의·의결을 거쳐 내년도 예산안에 따라 결정된다. 한국어촌어항공단 등이 관련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에 충남지역 자치단체들이 더욱 힘을 내서 어촌마을 환경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다해주길 주민들이 기대하고 있다.

서영태 기자

 


저작권자 © 충남인터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