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협회논단] 서영태 (사)전국지역신문협회 충남협의회장

 

충남지역 청년실업율이 심각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연구원 경제동향분석센터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충남 청년 고용률은 45.1%로 충남 전체 고용률 63.7%보다 18.6%p가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같은 해 충남 청년 실업률은 8.2%로 충남전체 실업률 2.9% 보다 무려 5.3%p가 높아 3배에 육박했다. 올 해 3분기 기준 25-29세 청년실업률은 8.7%를 기록해 코로나19 영향으로 증가폭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 간 충남의 연령별 고용구조의 특징을 살펴보면 20-29세의 청년층 고용비율은 0.3%p 감소하고 있는 반면 60-64세와 65세 이상 연령은 모두 2017년에 비해 2.5%p 상승했다.

또한 2020년 상반기 충남청년구직인원은 3만 4000명으로 지난해 동기대비 9.8% 감소했는데 코로나19로 인해 구직을 포기하고 NEET(구직을 포기하고 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는 청년 무직자를 뜻하는 신조어)의 증가로 충남 청년 일자리 미스매칭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청년농업인의 농촌 정착이 문제가 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0년 전국 40세 미만 청년농가는 3만 3143가구였다가 지난해 6859가구로, 10년 새 80% 가까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감소폭은 충남이 가장 컸다. 충남의 청년농가는 같은 기간 3959농가에서 545농가로 86.2%나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문제는 청년농업인을 위한 지원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다는 점이다. 정부가 2018년부터 지급하는 청년농업인 대상 영농정착지원금 지원기간은 최대 3년까지다.

이러한 이유로 전북도는 청년농업인 육성 5개년 계획을 수립, 2024년까지 1조 3754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고 있고, 일본의 경우 청년창업농 정착금을 최대 7년간 지원하고 있다.

농사지을 토지가 부족한 것도 청년농업인의 어려움 중 하나다. 쌀 소비량이 빠르게 줄어들면서 고소득 밭작물에 시선을 돌리는 추세지만, 농어촌공사가 보유한 공공임대용 비축농지는 논이 96%, 밭과 과수원은 4%에 불과한 실정이다.

청년 농업인이 빠르게 급감하면서 농촌지역이 더욱 빠른 속도로 늙어가고 있다. 소멸 위기지역인 농어촌을 살리고 충남의 미래 농업 발전을 위해 청년농업인을 육성할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처럼 코로나19로 경제위기 상황에서 충남 청년 인구가 감소하고 고용상황이 더욱 악화되고 있어서 미래가 암담하다. 이에 주거, 생활, 일자리, 창업 등 청년층에 맞는 맞춤형 정책개발 시행이 시급하다.

실제로 경제 위기시마다 청년층이 가장 큰 고통을 겪는 계층으로 파악되고 있다. 고용, 경제적 문제에 대한 정책 지원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문화, 건강, 주거 등 관련 인프라를 확충하는 정책을 적극 마련해주길 바란다.

저작권자 © 충남인터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