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소멸 우려한 높은 가운데 한 행사장에 반가운 어린이와 유모차가 보인다.

 

[충남협회공동보도] 충남지역 합계 출산율 0.91명 전년보다 5.7% 감소, 출생아 수 1만 200명으로 전년 대비 7% 내려

 

충남의 경우 소멸 고위험지역으로 분류되는 지역은 금산, 부여, 태안, 서천, 청양이다. 소멸 위험지역은 홍성, 예산, 보령, 논산, 공주, 서산, 당진 등 천안, 아산, 계룡을 제외한 모든 시·군이 지역 소멸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충남지역 합계 출산율은 0.91명(6위)으로 높은 축에 속하나 전년보다 5.7% 감소한 수치고, 출생아 수는 1만 200명으로 전년 대비 7% 내려갔다.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인구 자연증가 수치에선 세종시만 1500명 늘었고, 대전시와 충남도가 각각 1600명, 9500명 줄어 대조를 이뤘다.

충남도에선 서산시와 당진시가 각각 1.21명, 1.11명으로 최고치를 나타냈다. 보령시(0.97명)와 서천군(0.96명), 홍성군(0.92명), 청양군(0.90명)은 충남도 평균치에 근접하거나 높았다.

반면 계룡시(0.89명), 태안군(0.89명), 논산시(0.88명), 금산군(0.87명), 천안시(0.84명), 예산군(0.83명), 부여군(0.75명)은 모두 평균치를 밑돌았다.

인구와 출산율 감소는 곧 지역 소멸과 침체의 예고편으로 충청권 4개 시·도가 2024년 특별지자체 출범을 앞두고 특단의 대책을 공동으로 마련할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그나마 사정이 나은 당진지역의 경우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2022년 합계출산율은 1.11명으로 지난 한 해 동안 당진에서 태어난 출생아는 총 900명이었다.

2012년에는 합계 출산율이 1.88명이었다. 그 이후 비슷한 추이를 보이다 지난 2015년에는 한 해에 1945명이 태어나며 합계출산율도 1.95명으로 상승했지만 2015년 이후부터 감소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다음 해인 2016년에는 연간 출생아 228명이 감소하며 총 1717명이 태어났다. 2017년에는 1585명, 2018년 1380명, 2019년 1247명, 2020년 1058명으로 떨어졌다. 그리고 2021년 100명대 아래로 떨어진 953명이 한 해에 태어났으며, 지난해 결국 900명에 그친 것이다. 이대로라면 900명대도 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역소멸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자치단체 간 통합 의견도 나오고 있다. 최근 홍성군과 예산군의 행정통합 필요성이 제기됐는데 저출생·고령화와 양질의 일자리 부족으로 지역소멸위기에 처해있는 충남의 현실을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결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최근 이상근 충남도의원은 “감사원이 한국고용정보원에 의뢰해 전국 229개 시·군·구의 소멸위험정도를 분석한 결과 ‘소멸 고위험단계’에 진입하는 기초자치단체는 2017년 12곳에서 2047년 157곳, 2067년 216곳, 2117년에는 221곳으로 226개 기초자치단체 중 거의 모든 곳이 소멸될 것으로 추정했다”고 말했다.

이어 “소멸지수 0.2 이하면 소멸 고위험지역으로 분류되는데, 홍성의 소멸지수는 0.37, 예산은 0.22로 홍성과 예산도 소멸 위험지역에서 소멸고위험지역으로 진입하는 것이 명백한 현실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의 말에 의하면 홍성과 예산은 내포신도시라는 특수한 공통분모가 존재하므로 새로운 발전동력이 될 수 있도록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내포신도시의 행정적 이원화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충남, 홍성, 예산이 함께 참여하는 ‘충남혁신도시 지방자치단체조합’이 출범하는 만큼, 이를 적극 활용한다면 특별지자체 설립을 기대할 수 있고, 나아가 홍성과 예산의 행정통합을 통한 지방소멸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도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와 관련해 많은 논란이 있을 수 있다. 인구소멸위험이라는 발 등에 떨어진 불을 끄기 위한 것이니 만큼, 지역사회의 갈등을 넘어 차근차근 준비하여 미래를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국지역신문협회 충남공동취재팀

저작권자 © 충남인터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