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민&목소리] 현재 충남에서 거래되는 쌀값 17만 원대, 정부가 정한 수확기 쌀값 20만 원대에 한참 못 미쳐

 

전국적으로 쌀값 평균은 20만 원대이고 경기도의 경우에는 22~23만 원대로 높은데 비해 충남쌀은 17~18만 원대 수준에 머물고 있어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충남쌀의 대표브랜드인 ‘청풍명월’의 전국 시장점유율도 22년 기준 1.4%에 불과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데 충남 브랜드쌀 우수성을 널리 알려 농업인의 소득 수준을 향상시킬 수 방안을 적극 도색해야 한다는 농민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현재 충남에서 거래되는 쌀값은 17만 원대다. 정부가 정한 수확기 쌀값 20만 원대에 한참 못 미친다. 20만 원대조차 수확기 쌀값이 뒷걸음질 친 것으로 2020년, 2021년 정부 수매가격은 21만원을 넘겼다.

홍성에서 농사를 짓는 이진만 씨는 “인건비, 농기계, 농자재, 에너지, 원자재 등 모든 분야의 물가가 폭등했다. 현재 쌀값은 적정가격으로 보기 어렵다”며 “정부는 농민의 목숨과 같은 쌀 가격에 막중한 책임감을 느껴야 한다. 농촌과 농민을 위해 최소 21만 원대를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충남도의회가 수확기 쌀값(80kg 정곡 기준) 21만원대 보장을 촉구하고 나섰다. 생산물가 폭등을 감안해 농가 경영비 부담을 줄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제348회 정례회 1차 본회의에서 정광섭 농수산해양위원장이 대표 발의한 ‘수확기 쌀 가격 최소 21만원대 보장 촉구 건의안’을 채택했다. 19명 의원이 공동발의한 건의안은 41명 표결, 41명 찬성으로 압도적인 지지를 얻었다.

주진하 충남도의원은 “예전에는 다수확이나 고품질 쌀 생산에 중점을 두었지만 이젠 소비자들의 요구에 다가서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때”라며 “RPC(미곡종합처리장) 시설의 현대화를 통한 소포장 쌀 개발 등 고급화”를 강조했다.

이어 “농업인들이 제값을 받고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며 “기술원에서 이끌어갈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정부가 쌀값 안정화 대책을 발표했지만 이를 무색하게 하고 최근 하락세를 이기지 못하고 결국 쌀값 20만 원 선이 무너져 버렸다.

특히 내년 단경기(7~9월)에 쌀값이 5∼6% 정도 역계절진폭까지 발생한다는 전망까지 나와 현장의 분위기는 어두워지고 있다.

GS&J 인스티튜트에 따르면, 지난 15일 신곡 산지 쌀값은 10일 전보다 1.0%(526원) 하락해 20kg당 4만 9,820원을 기록했다. 지난달 5일부터 지난 15일 동안 가격 하락 폭은 8.4%로, 이는 직전 5년 같은 기간의 평균 하락 폭인 0.5%보다 월등히 큰 수치다.

특히 지난 15일 산지 쌀값은 작년 동기보다 9.2% 높고, 평년 동기보다는 1.2% 높은 수준이지만, 가격 하락 폭이 가팔라 곧 평년 수준보다 낮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지역농협 등 산지유통업체의 벼 매입물량이 전년보다 증가하면서 일시적인 재고 부담이 최근 산지 쌀값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서 쌀값 안정화 대책을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우선 공공비축미 40만 톤 중 산물벼 전량(12만 톤)을 내달부터 전량 인수해 시중에 공급하지 않을 예정이며, 나머지 건조벼 28만 톤도 현재와 같은 쌀값 상황에서는 공매를 실시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여기에 농식품부는 정부양곡 40만 톤을 내년에 사료용으로 판매해 재고부담을 완화하고, 산지유통업체의 미곡종합처리장(RPC) 기여도 평가 시 조곡(벼) 거래도 인정하는 등 쌀값 안정을 위한 방안을 신속하게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농협 통합 RPC 등 산지가공·유통업체에도 쌀값 안정을 위해 적정 가격으로 쌀을 판매해 달라며 협조를 요청했으며, 농협중앙회는 지역농협에 무이자 벼 매입자금 3,000억 원을 추가 지원하기로 하며, 산지 쌀값 안정에 심혈을 기울고 있다.

하지만 농식품부의 이런 정책 발표에도 불구하고 산지 쌀값은 계속해서 하락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어 우려된다.

전국지역신문협회 충남공동취재팀

저작권자 © 충남인터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